본문 바로가기
건강/암을 치유하는 길

대장암의 원인 및 대장암에 좋은 음식

by 지성당 2022. 10. 25.
반응형

대장암

대장은 소장의 끝에서 항문까지 이어진 소화 기관으로, 수분을 흡수하며, 음식물 찌꺼기를 변으로 형성해 저장했다가 내보내기 때문에 수백 종 이상의 세균이 서식을 하고 있습니다. 

 

대장암은 결장과 직장, 맹장에 생기는 악성종양입니다. 발생 위치에 따라 직장에 생기면 직장암, 대장에 생기면 대장암이라고 하며, 직장결장암이라고도 합니다. 건강 검진에서 양성 종양이 발견되는 경우가 있는데, 흔히 용종(폴립)이라고 말합니다. 용종은 양성이기 때문에 간과할 수 있는데, 용종이 증식하여 악성 종양인 선암으로 발전하기도 합니다. 

 

대장암의 대부분은 선암이지만, 신경내분비종양, 림프종, 평활근육종과 흔하지는 않지만 카포시 육종으로 악성 종양이 분류됩니다. 

 


 

대장암 증상

대장암 초기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변비와 혈변, 식욕감퇴, 체중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는 이미 대장암의 진행이 상당히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피로감, 빈혈, 설사, 배변 습관의 변화, 가늘어진 변, 복통, 복부 팽만감, 소화불량, 식욕부진, 오심과 구토 등이 나타나며, 때로는 하복부에 딱딱한 덩어리가 만져지고, 만지면 약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대장암의 원인

대장암 원인

잘못된 식습관

대장암은 육류와 어류의 과다섭취 및 해초 및 채소 섭취의 부족 등의 잘못된 식습관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에 음식물이 오래 남을수록 발암물질이 장점막에 접촉하는 시간이 많은데 특히 육류는 소화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대장암이 발생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다른 암들에 비해 특별히 식이요법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합니다. 하루라도 빨리 식생활을 개선하여 혈액을 맑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장 안 좋은 식습관은 밤늦게 먹는 것, 빨리 씹어 삼키는 것, 폭식입니다. 

 

운동 부족

운동을 하면, 장의 연동 운동을 촉진하여, 음식물을 빨리 밖으로 내보낼 수 있습니다. 규칙적이고, 일정 시간 이상의 꾸준한 운동은 대장암의 예방 뿐만 아니라, 완치 시간을 앞당기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유전

대장암은 다른 암에 유전적 영향을 많이 받는 편입니다. 대장암의 5~15%는 유전적 소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가족은 같은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갖고 있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대장암 발병과 가족력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대장암 진단

대장암은 50세 이상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50세 이상이 되면 국가 암 검진 프로그램으로 5년에 한번정도 검진을 받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대변 검사(분변잠혈반응검사)를 통해 이상 소견이 있으면 대장 이중 조영검사 또는 대장 내시경 검사를 하고, 거기에서도 이상소견이 발견되면, 조직검사를 하게 됩니다.

 

부모, 형제 중에 이른 나이에 암 진단을 받는 가족력이 있거나, 용종(폴립)이 있는 경우, 염증성 장질환이 있는 경우는 꾸준히 대장 내시경을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대장암 병기

대장암 TNM 병기 분류

TNM 병기 정 의
T 분류
(원발성 종양의 크기,
주변 조직 침범 여부)
T0 원발 종양의 증거가 없는 경우
Tis 점막층 내 암종
T1 암세포가 점막하층까지로 국한된 경우
T2 암세포가 근육층까지로 국한된 경우
T3 암세포가 근육층을 뚫고 장막층까지 침윤한 경우
T4 T4a 암세포가 장막층을 뚫은 경우
T4b 인접 주위 장기까지 침윤한 경우
N분류
(국소 림프절 전이 정도)
N0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N1 림프절 전이가 1~3개 있는 경우
N1a 림프절 전이가 1개인 경우
N1b 림프절 전이가 2~3개인 경우
N1c 림프절 전이 및 혈관, 신경침범 없이 암세포가 장막하, 장간막이나 복막으로 싸여 있지 않은 대장주위 림프 배액지역 조직에 있는 경우
N2 림프절 전이가 4개 이상인 경우
N2a 림프절 전이가 4~6개인 경우
N2b 림프절 절이가 7개 이상인 경우
M분류
(원격 전이 존재)
M0 원격장기 전이가 없는 경우
M1 원격장기 전이가 있는 경우
M1a 복막 전이 없이 한 장기에만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
M1b 복막 전이 없이 둘 이상의 장기에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
M1c 복막 전이가 있는 경우

 

대장암 TNM 조합으로 4단계 병기

TNM 병기 T (종양 크기)분류 N (림프절)분류 M(전이) 분류
0기 Tis N0 M0
1기 T1
T2
2기 2A T3
2B T4a
2C T4b
3기 3A T1-T2 N1/N1c
T1 N2a
3B T3-T4a N1/N1c
T2-T3 N2a
T1-T2 N2b
3C T4a N2a
T3-T4a N2b
T4b N1-N2
4기 4A 모든 종류의 T 모든 종류의 N M1a
4B M1b
4C M1c

-출처 : 국가암정보센터

 


대장암 치료

대장암은 여느 암과 마찬가지로,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중에 종양의 크기와 조직에 침투된 정도에 따라 선택하게 됩니다.

 

대장암 1기의 경우 수술 후 추가 치료 없이 경과를 관찰하며, 결장암 2기에서 3기까지는 수술 후 항암요법, 직장암 2기에서 3기까지는 수술 전 또는 후에 방사선 치료 또는 항암제 치료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수술이 불가능한 대장암 4기의 경우,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를 검토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때는 완치의 목적이 아닌, 통증이나 증상 완화를 위한 치료 방법입니다.

 


대장암 식사법

수술 후 6주간은 장 폐색 유발식품은 삼가는 것이 좋으며, 완전 소화가 안 되는 식품이나, 장폐색을 유발할 수 있는 식품을 섭취할 경우에는 잘게 썰거나 오래 씹어 먹어야 합니다.

 

장폐색 유발 식품

팝콘, 옥수수, 파인애플, 과일이나 채소의 껍질, 샐러리와 같은 섬유질이 많이 함유된 채소, 코코넛, 너트. 

 

대장암에 좋은 음식

 

대장암에 좋은 음식

현미, 현미팥밥을 200번 이상 씹어 먹습니다. 처음 현미밥이 적응하

기 어려울 때는 이분도미 또는 오분도미를 지어 150번 이상 씹어 먹습니다. 식욕이 없는 경우에는 현미수프에 깨소금을 조금 얹어 먹습니다.

 

미역, 김, 부추 등을 넣은 된장국에 현미떡 1개를 넣어 부드러워질 때까지 익혀 잘 씹어 먹습니다. 해초요리를 매일 먹도록 하고, 근채류는 가능한 자주, 푹 삶아 부드럽게 해서 먹습니다. 된장, 간장, 소금은 반드시 전통 자연산으로 합니다.

 

대장암에 나쁜 음식

육류, 어패류, 달걀, 알콜류, 백설탕, 가공식품, 자극적인 음식

 



대장암에 좋은 지압법

천추는 배꼽에서 손가락 세마디 바깥쪽에 있는 혈자리로, 대장 관련 질환에 아주 좋은 혈자리입니다. 천추를 숨을 내쉬며 눌러주는데, 수술 후에는 상처가 아물 때까지 삼가야 합니다.

 



대장암 권장 건강식품

  • AHCC : 암세포 사멸을 위한 면역세포의 활성화와 면역세포의 수를 늘려주는 대표적인 면역력 증진 건강식품입니다. AHCC는 면역력 증강뿐 아니라, 항암제의 부작용 경감, 피로감 억제, 우울감 해소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효소 : 음식물의 분해를 촉진하고, 노폐물의 배출에 탁월합니다. 특히 환자의 망가진 세포를 복원하고, 새로운 세포를 만들어내는데 필요한 대사효소가 건강한 사람에 비해 월등히 많이 필요하므로, 외부로 부터 섭취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칼슘 : 칼슘은 지방산, 담즙산과 결합하여 대장 상피세포를 공격하는 것을 막는다고 알려졌습니다. 최근에는 칼슘의 섭취가 대장 선종의 발생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