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암을 치유하는 길

유방암 병기와 유방암 생존율

by 지성당 2022. 9. 24.
반응형

유방암은 유방혹, 유방 멍울, 유방멍울, 유방 종괴 등의 증상으로 유방암 검사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유방암 증상이 나타나서 검진을 받고, 유방암 진단을 받아도 환자 본인이 몇 기인 지, 림프절 전이는 몇 개 인지에 대해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유방암의 병기와 그에 따른 생존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방암 병기 구분 기준

병기 종양의 크기 (T) 림프절 전이(N) 타 장기로의 침범(M)
0기 Tis N0 M0
1기 T1 N0 M0
2A기 T0 N1 M0
T1 N1 M0
T2 N0 M0
3A기 T0 N2 M0
T1 N2 M0
T2 N2 M0
T3 N1 M0
T3 N2 M0
3B기 T4 N0 M0
T4 N1 M0
T4 N2 M0
3C기 모든 T N3 M0
4기 모든 T 모든 N M1

* 자료출처 : 국가암 정보 센터

분류 종양의 크기 (N)
Tis 상피내암
T0 크기가 불분명
T1 2cm 이하
T2 2~5 cm 
T3 5cm 초과
T4 흉벽, 피부를 침범하거나 염증성 유방암일 때
분류 림프절 전이 개수 (N)
N0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없을 때
N1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3개 이하
N2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4~9개
N3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10개 이상 또는 쇄골 상부 림프절 전이가 있을 때
분류 타 장기로의 침범 여부 (M)
M0 전이가 없을 때
M1 전이가 있을 때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종양의 크기가 작더라도 림프절 전이가 있으면 2기로 넘어가고, 림프절 전이가 없더라도 종양의 사이즈가 크면 병기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종양 사이즈가 작더라도 타 장기로의 침범이 보이면 말기인 4기로 진단됩니다. 따라서 유방암의 병기를 구분할 때 종양의 크기, 림프절 전이와 , 타 장기로의 침범이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병기가 결정됩니다. 

 

유방암 병기 1기에서 4기까지

 

  • 유방암 0기 : 상피내암으로서 종양의 크기를 측정할 수 없고, 림프절 전이가 없으며, 타 장기로의 침범이 없다.
  • 유방암 1기 : 종양의 크기가 불분명하고, 림프절 전이가 없으며, 타 장기로의 침범이 없다. 
  • 유방암 2A기 : 아래의 조건 중 하나에 속할 때
    • 종양의 크기가 불분명하고,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3개 이하, 타 장기로의 침범이 없다.
    • 종양의 크기가 2cm이하,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 3개 이하, 타 장기로의 침범이 없다.
    • 종양의 크기가 2~5cm,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없고, 타 장기로의 침범이 없다.
  • 유방암 2B기 : 아래의 조건 중 하나에 속할 때
    • 종양의 크기가 2~5cm,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3개 이하, 타 장기로의 침범이 없다.
    • 종양의 크기가 5cm 이하,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없고, 타 장기로의 침범이 없다.
  • 유방암 3A기 : 아래의 조건 중 하나에 속할 때
    • 종양의 크기가 명확하지 않고,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4~9개이며, 타 장기로의 침범이 없다.
    • 종양의 크기가 2cm 이하이고,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4~9개, 타 장기로의 침범이 없다.
    • 종양의 크기가 2~5cm,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4~9개, 타 장기로의 침범이 없다.
    • 종양의 크기가 5cm를 초과하고,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9개 이하, 타 장기로의 침범이 없다.
  • 유방암 3B기 : 종양이 흉벽, 또는 피부를 침범하거나 염증성 유방암이면서,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9개 이하, 타 장기로의 전이가 없다.
  • 유방암 3C기 : 종양의 크기에 상관 없이, 종양이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 10개 이상 또는 쇄골 상부에 림프절 전이가 있고, 타 장기로의 전이는 없을 때
  • 유방암 4기 : 종양의 크기와 림프절 전이와 상관없이 타 장기로의 침범으로 인한 전이가 있을 때

 

유방암 극복

 

유방암 생존율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유방암은 크게 0기에서 4기로 분류되고, 2기는 A와 B기, 3기는 A,B,C기까지 분류합니다. 암의 크기와 상관없이 겨드랑이나 쇄골 림프절에 10개 이상의 전이가 보이면 진행성 암으로 보며, 타 장기로의 전이가 있으면 유방암 말기로 분류됩니다. 유방암 병기를 나누는 것은 생존율을 유추해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씀드렸는데요. 병기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방암 병기별 5년 및 10년 생존율

 

병기 5년 생존율(%) 10년 생존율(%)
0기 98.3 95.4
1기 96.6 92.7
2기 91.8 84.8
3기 75.8 63.4
4기 34 22.2

- 자료 출처 : 한국 유방암 학회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림프절 전이가 비교적 많은 3기부터는 유방암 생존율이 많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계명대학교 의과대학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10개 이상의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5년 동안 무병 생존율이 49.4%, 5년 전체 생존율은 64.6%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J Korean Surg Soc, Vol 75, No.4).

 

또한 타 장기로의 전이가 있는 유방암 4기의 생존율은 5년 생존율이 34%, 10년 생존율이 22.2%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유방암의 크기와 림프절 전이, 타 장기로의 전이에 따른 유방암의 병기와 그에 따른 생존율을 알아보았는데요. 생존율은 통계일 뿐입니다. 통계에 어느 부분에 내가 위치할 것인지는 암 진단 후의 관리에 따라 충분히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 1%의 생존율이라고 하더라도 나 하나만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는 암으로 인해, 내가 사망할 가능성은 0% 아니면, 100%이니까요. 그리고 의사는 조력자일 뿐이고, 병원은 치료의 도구에 불과합니다. 

 

결국 내가 건강을 회복하고자 노력하지 않으면, 조력자와 치료의 도구는 무용지물이 될 것입니다. 이 병이 나에게 왜 왔는지를 진단하고, 그 원인을 변화시켜 생활습관, 식습관, 마음습관에 변화를 일으켜야 유방암 재발과 전이를 막을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

 

 

 

 

반응형